연사 소개

기조연설


라이언 시오타니 사진

Ryan SHIOTANI

BBC 스튜디오 아시아 콘텐츠 담당 수석 부사장

Ryan SHIOTANI는 BBC 스튜디오 아시아 콘텐츠 담당 수석 부사장으로, BBC 스튜디오가 새로운 파트너십과 플랫폼을 모색하는 가운데 아시아 지역의 콘텐츠 방향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기존 및 신규 브랜드 서비스 전반의 지역 편집 책임자로서 브랜드 및 콘텐츠 전략, 특히 아시아 공동제작에 대한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 Ryan은 2007년 BBC 스튜디오(당시 BBC 월드와이드)에 합류한 이후 BBC Earth, BBC Lifestyle, BBC Kids, BBC Player 등 다양한 브랜드의 편집 전략을 주도하며 아시아 지역의 방송 및 디지털 플랫폼 운영을 이끌어왔다. 또한 인도 Sony Pictures Networks와의 합작 법인인 Sony BBC Earth의 운영에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BBC 스튜디오 합류 전에는 Discovery Networks Latin America/Iberia, Sesame Workshop, MTM Entertainment, TV Globo 등에서 프로그램 편성, 콘텐츠 구매 및 판매, 제작 등 다양한 영역을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유럽, 북미 지역에 걸쳐 담당하며 글로벌 미디어 분야의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특별세션. 한국과의 협력, 한국의 협력


찬타팟 캄콕그루앗 박사 사진

Dr. Chanthaphat KHAMKHOKGRUAD

태국 방송통신위원회 정책기획수석전문관, 부위원장 직무대행

Dr. Chanthaphat KHAMKHOKGRUAD은 태국 방송통신위원회(NBTC)의 정책기획수석전문관 겸 부위원장 직무대행으로 재직 중이다. 그는 과거 NBTC에서 자산관리국장으로 7년 6개월, 총무국장으로 1년 6개월 동안 근무한 바 있다. NBTC에 합류하기 전에는 태국 도시철도공사에서 12년간 법무수석관으로 재직했다. Dr. Chanthaphat KHAMKHOKGRUAD은 람캄행대학교에서 법학박사(Ph.D.), 법학석사(LL.M.), 법학사(LL.B.) 학위를 모두 취득했으며, 국가방위대학교 제64기 과정을 수료했다. 또한 그는 태국 변호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갈 나산바트 사진

Baigal NASANBAT

몽골 국영방송 편성정책규제국 국장

Baigal NASANBAT는 몽골예술문화대학교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텔레비전 및 영화 감독이다. 1998년 같은 대학에서 텔레비전·영화 연출을 전공하고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에는 베이징연극학교에서 텔레비전·영화·연극 관련 과정을 이수했다. 2004년부터 연출가로 활동을 시작해, 2005년부터 몽골 국영방송 텔레비전 채널(MNT)에서 예술감독과 수석연출가 등 주요 보직을 맡아왔다. 이후 2020년 패밀리 채널 국장, 2022년 채널 1 국장 직무대행을 역임했으며, 2024년부터는 편성정책규제국 국장으로서 MNT의 프로그램 정책과 전략을 총괄하고 있다.

알렉스 레자 샤리만 오스만 사진

Alex Reza Shariman OTHMAN

말레이시아 국영방송 TV 프로그램 국장

Alex Reza Shariman OTHMAN은 말레이시아 국영방송(RTM)의 TV 프로그램 국장이자 전략개발국장 직무대행이다. 방송 분야에서 약 30년에 걸친 경력을 지닌 그는 RTM TV 엔터테인먼트 부서에서 인턴으로 커리어를 시작해, 이후 수많은 예능·문화·국제 프로그램을 기획·제작·총괄해왔다. 그는 말레이시아 기술대학교 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말레이시아 과학대학교에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ASEAN, ABU(아시아태평양방송연합), AIBD(아시아태평양방송개발기구) 등 주요 국제 포럼에서 말레이시아를 대표하며,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지역 협력 강화에 기여해왔다. 창의적 리더십과 콘텐츠 전략 역량을 인정받은 그는 현재 RTM의 편성·콘텐츠 전략 및 국제 협력을 총괄하고 있다. 방송 외적으로는 클래식 음악, 오페라, 문학, 문화, 예술영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조성우 사진

조성우

CJ ENM 글로벌사업본부장

조성우는 CJ ENM의 글로벌사업본부 책임자이다. 2024년 5월에 이 직책에 임명된 그는 미국의 Fifth Season을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홍콩, 태국 등에 있는 CJ ENM의 엔터테인먼트 계열사들을 총괄하고 있다. CJ ENM 사업의 글로벌 성장 전략 수립을 책임지고 있으며, 글로벌 스튜디오 인수 및 파트너십 구축, 그리고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KCON을 협력 등 정부 및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추진하고 있다. 현 직책 이전에는 CJ ENM 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서 영화 투자 및 제작, 글로벌 전략 기획을 이끌었다. CJ주식회사 재직 시절에는 미래 전략과 글로벌 사업에 집중하며 K-컬처 육성을 통해 CJ의 문화사업 글로벌 확장을 주도했다.

세션1. AI 영향 속 협력 모색


이상욱 사진

이상욱

MBC 씨앤아이 AIXR 팀장

이상욱은 MBC 씨앤아이 AIXR 콘텐츠팀장으로 AI콘텐츠랩의 리더이다. 그리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AI실감미디어콘텐츠학과의 외래교수를 겸하고 있다. 현재 총괄을 맡고 있는 MBC 씨앤아이 AI 콘텐츠랩은 2024년에 출범하여, 국내외 AI 영화제 수상 배출하고 AI를 도구로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탐구하며, AI 특화 서비스의 상용화를 이끌면서 방송·영상 산업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최재주 사진

최재주

EBS AI플러스팀 팀장

최재주는 2002년 전북대학교 졸업, 2008년 한양대학원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2006년도 EBS에 IT 개발자로 입사하여 다수의 e-Learning 시스템 구축 및 수능 강의 서비스를 담당하였고, 2013년 교육 정보화 부문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2021년부터는 ICT 기획 및 제작을 담당하면서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한 AR/VR 콘텐츠 제작 및 다면 공간 체험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현재는 AI 활용한 콘텐츠로 'EBS AI 단편극장'을 지난 6월에 처음 방영하였으며, AI 서비스 기획 및 다양한 방송 포맷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이주희 사진

이주희

KBS 후반제작기술1 테크니컬 슈퍼바이저

이주희는 2012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전자 IT 미디어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2014년에 한국방송공사에 방송기술감독으로 입사하여 VR 가상스튜디오에서 방송기술업무를 시작했다. 그는 <임진왜란1592>를 시작으로 <매드독>, <화랑>, <너도인간이니> 등 KBS 대기획다큐멘터리와 드라마의 대형 VFX를 기획했다. 현재는 후반제작부 테크니컬 슈퍼바이저로서 AI를 활용한 대기획다큐멘터리와 대하드라마의 VFX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김태수 사진

김태수

네오사피엔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태수 네오사피엔스 대표는 머신러닝 기반 음성·오디오 합성 분야의 혁신가로, 인간과 AI의 감정적 교감을 이끌어내는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2017년 네오사피엔스를 창업한 이후, 그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위한 음성 및 영상 합성 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최근에는 콘텐츠 생성 영역을 넘어 대화형 AI 기술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사업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김 대표는 한양대학교에서 공학 학사, KAIST에서 머신러닝 분야로 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전에는 퀄컴(Qualcomm)과 LG전자에서 기술 리더로 재직하며 음성 인식, 오디오 향상, 음향 분류 알고리즘 및 관련 제품 개발을 주도했다. 20여 년간 축적한 머신러닝 전문성을 바탕으로, 그는 “누구나 AI를 이용하여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대”를 구현하는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가고 있다.

제이스 탐 사진

Jayce THAM

CreativesAtWork Pte Ltd / Dear.AI Pte Ltd 공동창업자 & 대표이사

Jayce THAM은 미디어 전략과 비즈니스 감각을 결합하여 CreativesAtWork를 아시아를 대표하는 프리랜서 플랫폼으로 성장시킨 리더이다. 그녀는 아시아 크리에이티브 산업 내에서 혁신적이고 포용적이며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을 선도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프리랜서 산업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또한 지속 가능한 크리에이티브 산업 정책 수립을 위해 정부 기관 태스크 포스에 참여하며, 산업의 제도적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세션2. 새로운 콘텐츠와 협력


곽규태 사진

곽규태

순천향대학교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

곽규태는 순천향대학교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이며,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에서 근무했고, 현재 한국방송학회,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카카오창작재단의 이사로 활동 중이다. 콘텐츠 산업, 미디어 경영 경제, 플랫폼 비즈니스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윤종세 사진

윤종세

SBS 정책팀 차장

윤종세는 고려대에서 노어노문학과 행정학을 전공했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2008년 SBS에 입사해 방송정책 관련 업무를 수행했으며, 2015년부터 플랫폼 전략과 사업 관련 업무를 맡기도 했다. 그는 2016년 방송3사가 미주 지역에 OTT 서비스를 하기 위해 만든 JV인 KCP(Korea Content Platform, 현재 이름은 Wavve Americas)를 설립했으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KCP의 COO를 역임하면서 KOCOWA 서비스를 운영했다. 2019년 SBS에 복귀한 후 2024년까지 국내외 콘텐츠 유통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서혜진 사진

서혜진

크레아스튜디오 대표

서혜진은 1993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1995년 같은 대학에서 조직사회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2016년에는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7년 SBS에 입사하였으며, 2018년 TV조선에서 제작국장으로 재직했다. 2022년에는 크레아스튜디오를 설립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메리엔 리 사진

Marianne LEE

Viu, PCCW 미디어 최고콘텐츠책임자

Marianne LEE은 팬 중심의 콘텐츠 기획에 기반한 경력을 쌓아온 콘텐츠 전문가이다. 콘텐츠와 마케팅 분야에서 주요 리더십 직책을 맡아왔으며, 현재 메리엔은 PCCW 산하의 범아시아 OTT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Viu에서 최고콘텐츠책임자로 재직 중이다. Viu는 아시아, 중동, 남아프리카 등 16개 시장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며, 그녀는 제작, 콘텐츠 수급, 편성 팀을 이끌며 전반적인 콘텐츠 전략을 총괄하고 있다. Marianne LEE은 Viu 합류 이전에는 미국의 주요 미디어 브랜드와 홍콩 소재의 지상파 방송사에서 근무하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김광국 사진

JIN Guang Guo

와가 주식회사 대표이사

JIN Guang Guo는 1997년에 일본으로 유학하여, 2005년 주오대학교 상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일본의 대형 콘텐츠 기업에 입사하여, 일중 공동 제작 프로젝트인 ‘애니메이션 삼국지’의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그 후 도쿄에서 Waga Japan(和雅日本)을 설립하고, 2011년에는 베이징에 Waga China(和雅中国)’를 설립하여 콘텐츠 제작, 판권 사업, 투자 등을 중심으로 활동해왔다. 2019년에는 웹툰 사업에 진출한 데 이어, 2024년에는 숏드라마 분야로도 활동 범위를 넓혔다.

홈으로